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2024년 대비 2025년, 사람들은 생성형 AI를 실제로 어떻게 활용하고 있을까?]


2025년, 사람들은 생성형 AI를 실제로 어떻게 활용하고 있을까?

Harvard Business Review 아티클 심층 분석

2025년 4월 9일 자 Harvard Business Review (HBR)에 실린 Marc Zao-Sanders의 아티클 "How People Are Really Using Gen AI in 2025"는 지난 1년간 생성형 AI(Generative AI) 사용 방식의 놀라운 변화와 현재 트렌드를 심도 있게 분석합니다. 이 글에서는 해당 아티클의 주요 내용과 함께 흥미로운 그래프 및 삽화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원문 아티클은 HBR 웹사이트(여기)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삽화 설명 - 표지] 아티클 표지에는 안드레아 우치니(Andrea Ucini)의 삽화가 사용되었습니다. 기하학적 형태로 각지게 표현된 회색톤의 인물 두상이 등장하며, 이 인물은 둥근 안경을 쓰고 있습니다. 안경알에는 렌즈 대신 푸른 하늘과 흰 구름이 비치고 있습니다. 이는 생성형 AI가 우리에게 새로운 시각, 통찰력, 혹은 더 넓은 디지털 세상(클라우드)을 보여주는 창이 될 수 있음을 상징하는 듯합니다. 또는 AI의 잠재력이나 때로는 불투명한 작동 방식에 대한 은유일 수도 있습니다.

서론: 생성형 AI, 1년 간의 변화와 새로운 연구의 필요성

저자는 1년 전 생성형 AI 활용 사례에 대한 글이 큰 반향을 일으켰다고 언급하며, 그 이후 AI, 생성형 AI, 대규모 언어 모델(LLM)에 대한 관심은 더욱 증폭되었다고 말합니다. 사용자 관심은 두 배로 증가했고, AI 투자는 급증했으며, 정부의 입장도 명확해졌습니다. 이에 HBR 편집진과 저자는 연구를 업데이트할 필요성을 느꼈습니다.

지난 12개월 동안 맞춤형 GPT(Custom GPTs), DeepSeek, Grok과 같은 새로운 모델의 등장, 구글의 팟캐스트 생성기 NotebookLM 출시, OpenAI의 새로운 모델 통합 인터페이스 약속, AI가 중간 추론 단계를 공유하여 더 나은 답변을 제공하는 연쇄 사고(Chain-of-thought) 추론 방식 도입, 음성 명령을 통한 상호작용 확대, 비용 절감 및 접근성 확대 등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이 연구의 목표는 실제 사용 사례를 통해 생성형 AI의 긍정적이고 유익한 적용을 확산시키는 것입니다. 저자는 작년과 동일한 방법론을 채택하되, 더 많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지난 12개월간의 결과로 제한했습니다. 주로 Reddit, Quora와 같은 온라인 포럼 및 기술의 구체적인 적용 사례를 포함한 기사를 분석했습니다.

2025년 Top 100 생성형 AI 활용 사례: 결과 및 트렌드

2025년 Top 100 생성형 AI 활용 사례 목록은 현재 가장 유용하고 영향력 있는 100가지 애플리케이션을 보여줍니다. 이 중 38개가 새롭게 순위에 진입했으며, 이는 여전히 많은 변화가 진행 중임을 시사합니다.

주요 변화: 기술적 활용에서 정서적 활용으로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생성형 AI의 활용이 기술적인 문제 해결에서 정서적 지원 및 개인적 성장 영역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그래프 설명 1 - 페이지 4: Top 10 Gen AI Use Cases]

이 그래프는 2024년과 2025년의 Top 10 생성형 AI 활용 사례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생키 다이어그램(Sankey-like diagram) 형태입니다. 각 활용 사례는 색상으로 구분된 테마(개인 및 전문 지원, 콘텐츠 생성 및 편집, 학습 및 교육, 기술 지원 및 문제 해결, 창의성 및 여가, 연구, 분석 및 의사 결정)에 속합니다. 주요 변화는 다음과 같습니다:

  • 새로운 1위: 2024년 '아이디어 생성'이 1위였으나, 2025년에는 '치료/정서적 교감(Therapy/companionship)'이 1위로 올라섰습니다.
  • Top 5 신규 진입: '내 삶 정리하기(Organizing my life)'가 2위, '목표 찾기(Finding purpose)'가 3위로 새롭게 Top 5에 진입했습니다. 이는 자기실현을 위한 노력의 증가를 반영합니다.
  • 순위 변동: '아이디어 생성'은 6위로, '텍스트 편집'은 순위권 밖으로 밀려났습니다. 반면 '향상된 학습', '전문가를 위한 코드 생성/개선' 등은 여전히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새로운 Top 10 진입: '더 건강한 삶(Healthier living)'이 10위로 새롭게 등장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사용자들이 생성형 AI를 단순한 도구를 넘어 개인적인 성장과 정서적 안정을 위한 파트너로 인식하기 시작했음을 보여줍니다.

주요 생성형 AI 활용 테마 변화

활용 사례를 6가지 주요 테마로 분류한 결과, 다음과 같은 변화가 나타났습니다.

[그래프 설명 2 - 페이지 5: Major Gen AI Use Case Themes That Emerged]

이 버블 차트는 2024년과 2025년의 6가지 주요 생성형 AI 활용 테마의 비중 변화를 보여줍니다. 각 테마는 원의 크기로 비중을 나타냅니다.

  • 콘텐츠 생성 및 편집 (Content Creation and Editing): 2024년 23%에서 2025년 31%로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며 최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 기술 지원 및 문제 해결 (Technical Assistance and Troubleshooting): 2024년 21%에서 2025년 18%로 감소했습니다.
  • 개인 및 전문 지원 (Personal and Professional Support): 2024년 17%에서 2025년 16%로 소폭 감소했지만, 개별 활용 사례의 중요도는 높아졌습니다. (아티클 본문에서는 이 테마가 가장 큰 테마가 되었다고 언급하며, "기술 지원 및 문제 해결" 영역에서 많은 부분을 가져왔다고 설명합니다. 그래프 수치와 본문 설명 간에 약간의 해석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전반적인 트렌드는 개인적 지원 강화로 보입니다.)
  • 학습 및 교육 (Learning and Education): 2024년 16%에서 2025년 15%로 소폭 감소했습니다.
  • 창의성 및 여가 (Creativity and Recreation): 2024년 13%에서 2025년 11%로 감소했습니다.
  • 연구, 분석 및 의사결정 (Research, Analysis, and Decision-Making): 2024년 10%에서 2025년 9%로 소폭 감소했습니다.

전반적으로 '콘텐츠 생성 및 편집' 테마가 크게 성장했으며, 기술 지원보다는 개인적, 정서적 지원과 관련된 활용이 두드러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주목할 만한 현재 활용 사례

아티클은 Top 100 사례 중 몇 가지 구체적인 예시와 사용자 인용구를 소개합니다.

  • 치료/정서적 교감 (#1):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정신 건강 관리가 거의 존재하지 않습니다... 대규모 언어 모델은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으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내 삶 정리하기 (#2): "손님들이 오시기 전에 집을 청소하고 정리할 타임라인을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 향상된 학습 (#4): "온라인 데이터 분석 과정을 혼자 학습하면서 ChatGPT를 학습 가이드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과정에서 간략하게 넘어가는 부분을 설명해주어 학습 내용을 강화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 더 건강한 삶 (#10): "새로운 식단을 시작했는데, 매크로 계산이 너무 복잡했습니다. 이제는 식사별 매크로 요구 사항에 따라 레시피를 요청하고 장을 봅니다. 에어프라이어와 밥솥을 사용하니 정말 쉽습니다."
  • 여행 일정 짜기 (#24): "ChatGPT에게 운전 시간을 최소화하면서 머물고 먹을 소박한 장소, 주요 볼거리, 숨겨진 명소 등 많은 세부 정보가 포함된 광범위한 휴가 일정을 요청했습니다. 결과는 완벽했습니다."
  • 벌금 이의 제기 (#83): "버스 전용차로 진입으로 과태료 통지서를 받았습니다. ChatGPT에게 항소문을 작성해 달라고 요청했고, 오늘 아침 과태료가 취소되었다는 편지를 받았습니다. AI 덕분입니다."

목표와 의미: 자기 계발과 정서적 연결을 위한 AI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LLM을 사용하여 삶의 목표를 찾고 자신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 치료 및 정서적 교감: AI 기반 치료는 연중무휴 24시간 이용 가능하고, 비교적 저렴하며, 타인의 판단으로부터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AI 치료가 인간이 작성한 치료적 반응과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정교해졌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 내 삶 정리하기: 사용자들은 일상 습관, 새해 다짐, 성찰적 통찰 등 자신의 의도를 더 잘 인식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작고 쉬운 방법을 찾는 데 AI를 활용합니다. Microsoft의 Jared Spataro는 AI가 업무 데이터와 연결될 때 개인 비서 역할을 하며 생산성과 창의성을 높일 수 있다고 언급합니다.
  • 목표 찾기: 자신의 가치를 정의하고, 장애물을 극복하며, 자기 계발을 위한 조언을 얻는 데 AI가 활용됩니다.

이 외에도 자신감 향상(#18), 깊고 의미 있는 대화(#29), 심지어 고인과의 교감 시도(#33) 등 인간적인 측면에서 AI의 도움을 받는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는 AI가 기술적 영역뿐만 아니라 인간의 본질적인 욕구와 열망을 충족시키는 데도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스스로 생각하기: AI 시대의 사고 능력

LLM이 인간의 사고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합니다. 일부 사용자는 AI에 지나치게 의존하게 되었다고 인정하는 반면, 다른 사용자는 AI가 개인의 학습과 사고를 향상시키는 도구라고 평가합니다.

특히 젊은 세대에 대한 우려가 큽니다. 과제물 대필 문제(#23), 어린 자녀의 교육 발달에 미치는 영향(#41) 등이 지적됩니다. 그러나 AI가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고, 판단에 대한 두려움 없이 아이디어를 탐색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더 깊고 명확하게 생각하도록 도울 수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습니다. Fortune 500 AI 고문인 Allie Miller는 "판단받지 않고 제한 없이 탐색할 수 있다는 점이 AI를 큰 꿈, 잠재적으로 부끄러운 질문, 모호하고 반쯤 형성된 목표를 위한 이상적인 놀이터로 만든다"고 언급했습니다.

더욱 정교해진 사용자들

2025년의 생성형 AI 사용자들은 기술에 대한 더 깊은 이해와 함께 비판적인 시각을 갖게 된 것으로 보입니다.

  • 정치적 올바름에 대한 비판: LLM의 지나친 정치적 올바름에 대한 불만이 제기되었습니다.
  • 데이터 프라이버시 우려: 빅테크 기업의 데이터 수집에 대한 경고가 반복적으로 나왔습니다.
  • 기억력 부족 불만: 역설적이게도 LLM이 사용자에 대해 충분히 기억하지 못한다는 불만도 있었습니다.
  • 작동 방식 이해도 증가: 사용자들이 LLM의 작동 방식을 더 잘 이해하게 되었으며, 명확한 의도를 가지고 프롬프트를 작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물론, 온라인 포럼은 극단적인 의견이 표출되는 장소이기도 합니다. 생성형 AI를 "가장 놀라운 발명품"이라고 극찬하는 의견과 "아무런 쓸모가 없다"거나 "악의적인 용도 외에는 생각할 수 없다"는 극단적인 비판이 공존합니다.


[인포그래픽 설명 - 페이지 12: How People Are Using Gen AI]

아티클의 마지막 부분(페이지 12)에는 "사람들이 생성형 AI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가 (How People Are Using Gen AI)"라는 제목의 종합 인포그래픽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인포그래픽은 연구자들이 웹 포럼에서 수만 개의 게시물을 필터링하여 식별한 100가지 다양한 활용 사례를 6가지 주요 테마로 정리하여 보여줍니다.

6가지 테마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술 지원 및 문제 해결 (TECHNICAL ASSISTANCE AND TROUBLESHOOTING)
  2. 개인 및 전문 지원 (PERSONAL AND PROFESSIONAL SUPPORT)
  3. 콘텐츠 생성 및 편집 (CONTENT CREATION AND EDITING)
  4. 학습 및 교육 (LEARNING AND EDUCATION)
  5. 창의성 및 여가 (CREATIVITY AND RECREATION)
  6. 연구, 분석 및 의사결정 (RESEARCH, ANALYSIS, AND DECISION-MAKING)

각 테마 아래에는 수많은 구체적인 활용 사례들이 나열되어 있으며 (예: 치료/정서적 교감, 회의록 요약, 노트 정리, 어려운 대화 연습, 코드 생성, 숙제, 이메일 답장, 프롬프트 개선, 인터뷰 준비, 벌금 이의 제기, 독서 도움, 코딩 학습, 학생 에세이 작성, 여행 일정 짜기, 사업 계획 수립 등), 일부는 새롭게 등장한 활용 사례임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이 인포그래픽은 생성형 AI가 우리 삶의 매우 광범위한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음을 한눈에 보여줍니다.

다음 단계는 무엇인가?

온라인 포럼에서는 미래에 대한 다양한 예측이 오고 갔습니다. 대부분은 극단적으로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미래를 예상했지만, LLM이 단순한 조언과 정보를 넘어 실제 행동을 수행하는 '에이전트적 행동(agentic behavior)'으로 발전하기를 바라는 목소리도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요금이 청구되기 전에 이 구독을 취소해 주는" 모델을 원하는 사용자가 있었습니다.

저자는 작년과 마찬가지로 AI와 그 응용 프로그램이 계속 발전할 것이라는 예측으로 글을 마무리하며, 2026년에 다시 만나기를 기대합니다.

결론: 생성형 AI, 인간의 삶과 더욱 밀접해지다

Marc Zao-Sanders의 HBR 아티클은 2025년 생성형 AI가 단순한 기술적 도구를 넘어, 인간의 정서적 지원, 자기 계발, 일상생활 관리 등 삶의 다방면에 깊숙이 관여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사용자들은 더욱 정교해지고 있으며, AI의 가능성과 한계를 동시에 인식하며 활용 방식을 발전시켜 나가고 있습니다. 앞으로 생성형 AI가 우리 삶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해 보입니다.


참고: 위 내용은 2025년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 기사를 Gemini 활용 분석하여 작성된 것입니다. 

-----

참고 도서: 

- Claude AI 글쓰기 (종이책):’AI 전환 시대엔 혼자보다 함께, 클로그 AI 글쓰기' (2025년 6월 2쇄) 
- Perplexity AI 의 모든 것(종이책): Yes24 (2025년 3월)

- AI DEEP RESEARCH 완전 정복 (종이책): 브크크 (2025년 4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알아두면 쓸모 있는 구글 문서 팁] 문서 공유시- 사용자 이름 대신에 익명의 동물이 표시 되는 이유와 동물 종류

구글 드라이브에는 다른 유사 서비스에서는 제공하지 않는 구글 만의 유니크한 기능들이 있다 구글 문서를  불특정 다수에게 전체 공개로 공유할 수 있습니다. 불특정인이 구글 문서에 접속한 경우 익명의 동물로 표시됩니다.  ' 웹에 공개' 또는 '링크가 있는 사용자' 공유 설정을 선택하면 인식할 수 없는 이름이나 익명의 동물이 표시될 수 있습니다. 파일에서 인식할 수 없는 이름을 볼 수 있는 몇 가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메일링 리스트와 파일을 공유합니다. Google 계정이 없는 사용자와 파일을 공유하며, 그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 초대를 전달했습니다. 내 파일을 수정할 수 있는 누군가가 파일을 다른 사용자와 공유했습니다. 다른 사용자가 자신의 Google 계정 이름을 변경했습니다. 공유 설정 페이지에서 해당 사용자 이름 위로 마우스를 이동하여 이메일 주소를 확인하세요. 익명의 동물 다른 사용자에게 개별적으로 보기 또는 수정 권한을 부여하거나 메일링 리스트에 속해 있는 경우에만 사용자 이름이 표시됩니다. 파일 권한을 '링크가 있는 사용자'로 설정하면 파일을 보고 있는 사용자의 이름이 표시되지 않습니다. 대신 다른 사용자가 익명으로 라벨이 지정되어 표시되고 각 익명 사용자는 다양한 익명의 동물로 나열됩니다. 파일 권한을 '링크가 있는 사용자'로 설정했지만 특정 사용자와 파일을 공유하는 경우 파일을 공유한 사용자의 이름이 표시됩니다. 그 외 다른 사용자가 파일을 볼 때는 익명으로 나타납니다. 비공개 파일의 익명 동물 파일 권한을 '링크가 있는 사용자'로 설정한 다음 이를 '특정 사용자'로 변경하면 다음과 같은 경우 여러 익명의 동물이 표시될 수 있습니다. 누군가 파일을 여러 번 여는 경우에는 익명의 동물 목록에서 오래되고 연결이 끊긴 세션을 강제 종료하는 데 조금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누군가 온...

[팁] Google Slide 프리젠테이션시 모든 한글폰트가 '굴림체' 로 바뀌는 현상을 해결한 크롬 확장 프로그램 소개

구글 문서도구인 구글 슬라이드를 이용하여 프리젠테이션을 많이 하는 분들을 위한 희소식 현재 구글 슬라이드에서는 슬라이드 편집시 사용한 고유 한글 폰트들은 프리젠테이션 모드로 전환할 경우는 모두 '굴림체' 로 바뀌어 표시가 되는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예). 슬라이드 편집에서 사용한 '궁서체' 한글 폰트는, 프리젠테이션 모드에서는 '굴림체'로 바뀌어 디스플레이됨 예). 슬라이드 편집 모드 - '궁서체' 폰트 사용 프리젠테이션 모드에서 '굴림체' 로 변경됨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해결하는 크롬 확장 프로그램이 개발 되었습니다.  크롬 확장 프로그램 명 - ShowAsis 입니다. 크 롬 웹스토어 링크 -  https://goo.gl/PVPkZz 이 확장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을 하면, 편집 모드의 폰트 그대로 프리젠테이션시에도 그대로 한글 폰트로 디스플레이 됩니다. 단, 단점은 슬라이드가 애니메이션 슬라이드가 있는 경우는 애니메이션이 동작하지 않습니다. ----------------------- G Suite/Google Apps 전문 블로그 -  charlychoi.blogspot.kr 도서 '기업과 학교를 위한 구글크롬북'

구글 드라이브에서 내 파일이 갑자기 사라졌어요 [알아두면 쓸모 있는 구글 드라이브 팁]

  구글 드라이브에서 고아가 된(정리 되지 않은)  파일들에 대한 현상 및 복원 방법 및 공유 드라이브 활용 목차  배경 내 파일이나 폴더가 사라지고 (삭제된 것은 아님) 찾을 수 없는 현상 고아가 된 파일 (정리가 안된 파일) 을 찾아 내고 복원하는  방법 고아가 된 과정을 추적하는 방법 배경   구글 드라이브의 내 드라이브에서 협업을 위한 협업 폴더를 생성한 후 다른 팀원간들간에 공유하여 작업하는 동안 예기치 못하게 내가 생성한 파일들 또는 폴더가 갑자기 사라지는 현상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를 경험한 사용자들이 많이 있습니다.  내가 파일이나 폴더를 삭제하지 않았는데 불구하고 휴지통에도 없고, 내가 삭제한 기억도 없고, 이러한 현상이 발생할 경우에는 본 벡서서에서 설명하는 해당 폴더나 파일들이 ‘고아 (Orphaned)’ 가 된 상태가 되어있는게 분명합니다.  한글 도움말에는 ‘정리가 되지 않은 파일 (또는 분리가 된 파일)' 이라고 설명되어 있기도 합니다. 고아가 된 파일들은 어떠한 폴더에도 속하여 있지 않고, 내 휴지통에도 존재하지 않는 현상입니다. 그러나, 구글 드라이브에서는 용량을 계속 차지 않고 있는 상태입니다. 간혹 왜? 내가 삭제한 적이 없는데 파일이 없어졌거나 폴더가 보이질 않는 경우 당황하지 않고 이문서를 자세히 참조하면 해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내 파일이나 폴더가 사라지고 (삭제된 것은 아님) 찾을 수 없는 현상      1. 내 드라이브에서 Folder A를 생성하고 Folder A 안에 File A 를 생성 합니다. 나중에 File A를 삭제 하고, 그 이후에 Folder A 까지 삭제를 할 수 있습니다. 그후 휴지통에서 File A만 복원을 할 경우 삭제된 File A 를 복원하려고 하는데 File A가 존재하였던 상위 폴더 ‘Folder A’는 이미 삭제된 상태입니다. 이럴때 File A는 ...

[알아두면 쓸모 있는 구글 Meet 팁] 구글 Meet에서 컴패니언 (Companion) 모드가 무엇이고 왜? 필요한가요?

  구글 Meet 에서 컴패니언 (Companion) 모드란 무엇이고 왜? 필요한가 지난 1월13일자  구글 영문 공식 블로그 에서  구글의 화상회의 도구인 Google Meet 에 컴패니언 (Companion) 모드 기능이 추가 되었다는 발표가 있었습니다. 이 모드가 무엇이고 왜? 필요한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들은 구글의 대표적인 화상회의 도구인 Google Meet 로 화상 회의를 얼마나 자주 하나요? Google Workspace 에 기본 기능으로 포함되어 있는 Google Meet 는 코로나19 펜데믹 이후로 많은 기업에서 활용하고 있을 것입니다. 그동안 한 회의실에서 여러명이 모여 화상 회의를 하는 경우 대부분은 하나의 노트북을 대표로 지정하고 나머지 참석자들은 노트북 주변에 모여서 회의 (비디오+음성)를 하거나, 아니면 각자의 노트북으로 화상 회의에 연결한 후 마이크를 mute 를 하여 참여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이유는 한 회의실안에서 화상회의시 여려명이 마이크를 On 하면 소위 하울링 또는 Audio Feedback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   구글은 Google Meet 로 화상 회의시 이러한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서 소위 컴패니언 모드 기능을 추가하였습니다. 즉, 한 회의실에서 여러명이 회의에 참여할 경우 하나의 컴퓨터 또는 Google Meet 전용 하드웨어인 화상회의 기기를 메인으로 연결하고 나머지 참여자들은 각자의 노트북에서 컴패니언 모드로 접속 할 수 하도록 한 것입니다. 즉, 컴패니언 모드로 접속한 사용자는 자동으로 오디오와 비디오는 Off 가 나머지 기능들만 활성화 (화면공유, 손들기, 다른 참여자와 채팅, 자막 사용) 되어 회의에 참여 할 수가 있게 되었습니다. 이 기능은 개인 gmail 사용자 뿐만아니라 Google Workspace 의 모든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게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Google Meet 로 화상 회의에 참여 할 경우 컴패니언 모드로 접속을 하는 방법에는 ...

"AI 전문가”의 함정: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에서 컨텍스트 엔지니어링까지, 누가 우리를 멀어지게 했나

            생성형 AI가 우리 곁에 온 지 얼마 되지 않아, 우리는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라는 낯선 용어의 세례를 받았습니다. AI를 잘 쓰려면 뭔가 대단한 기술이 필요할 것 같은 불안감을 심어주었죠. 이제는 한술 더 떠 ‘컨텍스트 엔지니어링’이라는 말이 등장했습니다. 마치 AI와의 대화가 점점 더 소수 전문가의 영역이 되어가는 듯합니다. 하지만 정말 그럴까요? 이 글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어떻게 우리의 AI 접근성을 떨어뜨리고 있는지, 그 이면의 진실은 무엇인지 파헤쳐 봅니다.         1. ‘프롬프트 엔지니어’의 등장: 필수 기술인가, 스쳐 가는 유행인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AI에게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명확한 지시를 내리는 기술입니다. 초기 AI 모델들은 인간의 의도를 잘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에, 사용자의 정교한 안내가 필수적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AI에게 특정 역할(페르소나)을 부여하거나, 복잡한 문제는 단계별로 생각하도록 유도하는(사고의 연쇄, Chain-of-Thought) 기법들이 대표적입니다.         하지만 이를 ‘엔지니어링’이라 부르는 것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습니다. 지지자들은 체계적인 실험과 분석이 필요한 공학의 한 분야라고 주장하지만, 비판자들은 결과가 예측 불가능하고, 동일한 프롬프트에도 다른 답이 나오는 등 전통적인 공학의 엄밀함이 부족하다고 지적합니다. 사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부상은 초기 AI 기술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과도기적 현상 에 가깝습니다.         2. 다음 물결, ‘컨텍스트 엔지니어링’: 더 높은 벽인가, 자연스러운 진화인가?         최근에는 ‘컨텍스트 엔지니어링’이라는 용어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질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