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 없이 공공 데이터 분석하기: Claude로 분석한 용인시 도서관 데이터로 본 인사이트 #Claude #데이터분석 #공공데이터 #데이터시각화 데이터가 중요하다고들 하지만, 막상 데이터를 마주하면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할 때가 많습니다. 특히 코딩이나 복잡한 분석 툴에 익숙하지 않다면 더욱 그렇죠. 하지만 생성형 AI 덕분에 이제 누구나 데이터 분석가가 될 수 있는 시대가 열렸습니다. 이런 흥미로운 사실들을 코딩 한 줄 없이, 단 몇 번의 질문만으로 어떻게 발견할 수 있었을까요? 오늘 이 글에서는 '경기도 용인시 도서관 대출 순위' 공공 데이터를 활용해, Google Gemini 와 대화하며 데이터 속 숨은 인사이트를 찾고, 이를 멋진 인포그래픽으로 시각화하는 전 과정을 생생하게 보여드리겠습니다. 1단계: 데이터 준비 및 질문 던지기 모든 분석의 시작은 데이터입니다. 저는 공공데이터포털 에서 '경기도 용인시_도서관 도서대출 순위 정보' CSV 파일을 내려받았습니다. 이 파일에는 어떤 책이, 어떤 도서관에서 얼마나 대출되었는지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습니다. 과거에는 이 데이터를 분석하려면 엑셀의 피벗 테이블을 돌리거나, 파이썬(Python)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드를 작성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Claude 에게 파일을 그냥 '업로드'하고, 한국어로 질문하면 됩니다. 업로드한 CSV 파일을 분석해서 경기도 용인시 도서관 대출 트렌드를 알려줘. 2단계: Claude의 즉각적인 데이터 분석 놀랍게도, Gemini는 파일을 즉시 이해하고 주요 내용을 요약해주었습니다. 어떤 책, 저자, 출판사가 인기가 많은지, 그리고 어느 도서관의 대출이 가장 활발한지 등을 정리된 텍스트로 보여주었죠. 코딩 한 줄 없이 데이터의 전반적인 그림을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Claude 가 찾아낸 주요 인사이트 (초기 분석) - 인기 도서: '흔한남매', '추리 천재 엉덩이 탐정' 등 ...
저서: 1. AI Deep Research 완전 정복 (종이책-부크크) AI 검색 혁명 Perplexity AI 활용 완전 정복 (종이책-부크크) 2. AI 전환 시대엔 혼자보다 함께, 클로드 AI 글쓰기(종이책-프리렉), 3. 일하는 방식의 전환, 구글 워크스페이스 활용 가이드 (종이책, 프리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