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연금개혁인 게시물 표시

그래서 나는 얼마 받는데? 국민연금 개혁, 20대와 40대의 손익계산서 심층 분석

  그래서 나는 얼마 받는데? 국민연금 개혁, 20대와 40대의 손익계산서 심층 분석 "2055년 국민연금 기금이 소진된다는데, 그럼 우리 세대는 연금을 한 푼도 못 받는 걸까요?" 최근 국민연금 개혁안을 둘러싼 논의가 뜨겁습니다. 뉴스는 연일 '더 내고 더 받는다' 혹은 '더 내고 덜 받는다'는 헤드라인을 쏟아내지만, 정작 그래서 '나'는 어떻게 되는 건지 속 시원한 답을 찾기 어렵습니다. 특히 사회초년생인 20대와 한창 경제활동 중인 40대는 세대별로 유불리가 다르다고 하니 더욱 혼란스럽기만 합니다. 이런 모든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논란의 중심에 선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43%'  개혁안이 각 세대의 생애 주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숫자로 명확하게 분석해 보았습니다. 🚨  연금 고갈의 진짜 의미 먼저 가장 큰 불안의 원인인 '기금 소진'부터 짚고 넘어가야 합니다. 2055년 기금이 소진된다는 것은 연금 지급이 중단된다는 뜻이  아닙니다.  그 시점부터는 그해 걷은 보험료로 그해 연금을 지급하는 '부과 방식'으로 전환됨을 의미합니다. 문제는 이때 필요한 보험료율이 현재 소득의 9%에서 무려  26.1% 까지 치솟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사실상 미래 세대에게 엄청난 부담을 떠넘기는 셈이죠. 이것이 바로 지금 연금 개혁이 시급한 이유입니다. 🔍  '더 내고 더 받는' 개혁안, 핵심은? 현재 가장 유력하게 논의되는 개혁안은 보험료율을 현행 9%에서 13%로 점진적으로 인상하고, 명목 소득대체율(40년 가입 기준 생애 평균 소득 대비 연금액 비율)을 40%에서 43%로 올리는 것입니다. 이 개혁안이 시행되면 기금 소진 시점을 약 8년 늦추는 효과가 있습니다. 🆚  20대 vs 40대, 세대별 손익계산서 그렇다면 이 개혁안은 20대와 40대에게 각각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평균 소득자를 기준으로 시뮬레이션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